2025/03/22 3

폐배터리 및 폐가전제품 처리

1. 폐배터리와 폐가전제품의 정의 및 발생 현황폐배터리는 사용 수명이 끝나 더 이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배터리를 말하며, 자동차용 납축 배터리, 산업용 축전지, 휴대폰, 노트북, 소형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및 소형 건전지 등을 포함한다. 폐가전제품은 생활 속에서 흔히 사용하는 가정용 및 사무용 전자제품들로서 냉장고, 세탁기, TV, 에어컨, 전자레인지, 컴퓨터 등을 의미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정책과 기술 발전으로 인해 전기차 보급 및 전자기기 사용이 급증하면서 폐배터리와 폐가전제품의 배출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20만 톤의 폐가전제품이 배출되고 있으며, 폐배터리 역시 약 15만 톤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제대로 처..

일회용품 규제와 폐기물관리법

1. 일회용품 규제의 배경과 필요성일회용품은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는 2021년 환경부 및 국회 보고서에 따르면 연간 약 250억 개의 테이크아웃 컵과 210억 장 이상의 비닐봉투가 사용되며, 이로 인한 폐기물 발생과 환경오염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일회용품 규제는 폐기물 감량과 자원순환 사회 실현을 위한 핵심 정책 중 하나로, 폐기물관리법과 자원순환법에 근거해 시행된다. 특히, 무분별한 일회용품 사용은 토양과 수질 오염, 해양 생태계 파괴로 이어지며, 미세 플라스틱 문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전 세계적으로도 EU, 일본, 미국 등 다양한 국가들이 플라스틱 사용 규제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규제 강화를 추진하며, 국민 참..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와 ESG 경영

1.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의 심각성플라스틱은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소재지만, 무분별한 사용과 폐기 문제로 인해 지구 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연간 약 450만 톤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발생하며, 이 중 상당 부분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되거나 소각되고 있다. 바다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결국 인간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과다 사용은 기후 변화와 탄소 배출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으며, 대기 질 악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국제 사회 역시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해 바젤 협약 개정, 유럽연합(EU)의 플라스틱 금지 지침 등 강력한 규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발맞춰 관련 법률과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